본문 바로가기
주식, 증권, 경제 이야기

[파괴왕 조주연 사장님] 기업회생절차 들어간 홈플러스가 망한 진짜 이유

by luckykorean 2025. 3. 5.

목차

    반응형

    [파괴왕 조주연 사장님] 기업회생절차 들어간 홈플러스가 망한 진짜 이유

    [파괴왕 조주연 사장님] 기업회생절차 들어간 홈플러스가 망한 진짜 이유
    CEO 인사말 
안녕하세요. 
홈플러스 대표이사 사장 조주연입니다
    이화여대 출신 
조주연사장 
모토로라 
Ig전자 마케팅 
한국 맥도날드 
가는곳마다 파괴중 
맥도날드 사장 취임 후 업적으로는 
1. 맥딜리버리 최소금액 올림 
2. 맥런치 폐지★★★ 
3. 맥윙, 치킨치즈머핀 단종 
4. 패티 창렬화 
5. 그러면서 버거가격 상승 
6. 토마토치즈버거 단종★★★ 
취임후 불과 2년만에 일어난일들
    대한민국 기업들을 완전히 말살하려고 작정을 한 거야? 아니면 열심히 해볼려고 했는데 능력이 없어서 하나도 남김없이 말아먹은 거야? 어느 쪽이던 CEO 자리에 앉아서는 안 될 것 같은 사람인데 대체 무슨 수로 자기 커리어를 지켜온 거지?

    이 상황을 이미 예언하고 있었던 인터넷 커뮤니티 네티즌들

    BEST 
마무리투수! 
홈플 장사 접냐? 
답글 
루리웹-71904935764 
접을려고 부르는듯 저여자가 가는 회사가 사업 접기전에 영입하던데 
브랜드 파멸자 
답글 
이제 마지막으로 구조조정 한판 때리고 팔고 나갈 준비하나보네 
답글 
홈플 뎃다. 
답글 
이사람이 맥그네?? 
나답글 
맥도날드를 한큐에 말아먹은 전설의 신화 조주연을? 
답글

    2년 전 사장 취임 소식 직후부터 예견되었던 홈플러스의 멸망

    EBIN 
산업경제 = 
홈플러스 '파괴왕' 조주연 전 맥도날드 대표 영입 
김남희 기자 nina@ebn.co.kr 다른 기사 보기 
일력 2021.07.09 14:13 ❘ 
수정 2022.10.21 15:44 
+-
맥도널드서 잇단 상품단종·가격인상 이력 
소비자 기습적 인기메뉴 폐지에 불만 쇄도 
극단적 수익추구형 사모펀드 철학과 일치 
EBN 
Homeplus 
MBK PARTNERS 
극단의 이익을 실현하는 사모펀드가 주인인 홈플러스가 조주연 전 맥도날드 대표를 마케 팅부분장으로 영입한 배경에 관심이 집중된 다. 조 전 대표는 맥도날드 대표 시절 스테디 셀러 메뉴를 단종시키거나 가격을 올려 소비 자들로 부터 '파괴왕'이란 별칭을 얻기도 했 다. 
사모펀드 MBK파트너스 최대 실패작으로 꼽 히는 홈플러스는 경쟁사보다 외형이 작고 내 실도 빈약해 체질 개선이 급박하다. 이런 상황 에서 홈플러스가 잇단 '인기메뉴 폐지' 경영으 로 악명 높은 마케터를 발탁한 이유에 시선이 쏠린다
    ◆악화일로의 홈플러스 온오프라인 수익모델 찾아야 
2016년 홈플러스는 영업이익을 3000억 원대 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지만 이후 실적 하락 세를 면치 못했다. 유통시장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재편되는 상황에서 시장 기대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해서다. 
가장 최근 회계연도(2020년 3월~2021년 2 월) 매출액은 6조9662억 원으로 전년 대비 4. 6% 줄었다. 영업이익은 41.7% 급감한 933억 으로 추락했다. 2016년 3091억 원에 달하던 영업이익이 불과 4년 만에 1000억 원대 밑으 로 주저앉은 것이다. 2017년부터 매년 영업손 실을 기록하며 MBK파트너스의 투자 오점으 로 전락한 것이다. 
경쟁사 이마트의 이베이코리아 인수가 아니더 라도 홈플러스는 다른 식의 체질 개선과 내실 쌓기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홈플러스가 마케 팅 전문가인 조 부사장 영입을 통해 이같은 난 국을 어떻게 타개할 지가 주목되는 이유다. 
업계에선 홈플러스가 다시 활기를 되찾으려면 대대적인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내다본다. 홈플러스는 올 하반기 온라인 채널을 강화해 온오프라인 융합형 수익 모델 구축하는 게 목 표다. 
이같은 일환으로 홈플러스는 상품 조달 능력 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조직을 개편하고 외부 유통·마케팅 전문가를 임원으로 영입하는 전 열 정비를 최근 단행했다. 
부문장 1명이 전체 상품을 총괄해왔던 '상품 부문' 조직을 카테고리별로 나눠 '상품1부 문'과 '상품2부문'으로 재편하고 각 부문장을 임명해 전문성과 책임을 높이는 형태다. 이는 이제훈 사장이 5월 10일 취임한 후 60일 만에 단행한 첫 번째 개편이다.
    하지만 한국맥도날드는 별도 공지 없이 '맥올 데이 세트'를 출시하면서 맥런치를 폐지했다. 인기 사이드 메뉴인 '맥윙', '치킨치즈머핀'도 단종 조치했다. 
소비자 불만이 쇄도했지만 후속 대응과 설명 이 부실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소비자의 지속적인 요청에 따라 맥도날드는 폐지 3년 만에 맥런치 세트를 재출시했다. 소비자를 '돈 출'로만 여기고 낭패를 보고 다시 원위치로 돌 아온 것이다. 
◆시장 "수익성 개선 위해 소비자 정서 읽지 못해" 지적 
이에 대해 외식업계 관계자는 "맥런치는 소비 자에게 오랜 기간 사랑 받은 프로모션인데 이 를 없앤다는 건 소비자 불만을 감수해서라도 당장 수익성 개선을 위한 결정"이라면서 "고 객에게 혜택을 많이 주는 삼품은 많이 팔릴수 록 회사에는 수익약화로 이어진다"고 설명했 다. 
이같은 수익성에 초점을 두고 인기상품을 폐 지한 선택은 소비자 정서를 읽지 못한 결과란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이같은 이력의 조대 표가 어떤 방식으로 홈플러스의 위기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지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다. 조 부사장이 유통업계 대중적 정서를 어떻게 이 해하고 시장 기회를 찾을 수 있을 지에 대한 관심이다. 
홈플러스는 갈수록 상황이 나빠지고 있다. 수 익성 측면과 미래 경쟁력 확보란 성장성 측면 에서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경쟁사 이마트와 달리 사모펀드 MBK파트너 스가 주인인 홈플러스 경영 최종 목표는 투자 금 회수에 있다.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점포 매출이 더욱 감소한 상황에서 기대 수익률을 달성하기가 어려워 보인다. 
부실기업을 인수한 뒤 가치를 높여 재매각하 는 사모펀드 입장에서는 출구 전략을 세우는 것 또한 쉽지 않은 최악의 상황이다. MBK파 트너스는 2015년 7조2000억 원이라는 막대 한 금액을 투자해 홈플러스를 인수했다. 
10.900
    ◆최초 여성대표···인기상품 잇달아 폐지 
오는 12일 전열을 재정비하는 홈플러스는 조 주연 전 한국맥도날드 사장을 신임 마케팅부 문장(CMO·부사장)으로 선임했다고 9일 밝혔 다. 
조 부사장은 한국맥도날드 최초 여성 대표이 자, 한국맥도날드 내부에서 발탁된 첫 번째 대 표로 외식업계에서 유의미한 이력을 보유했 다. 디자인 마케팅이 주 전공인 조 부사장은 2 011년 마케팅 총괄 전무로 한국맥도날드에 합류해 대표이사로 승격된 케이스다. 
유통업계는 홈플러스에서 조 부사장의 향후 역할에 주시하고 있다. 화려한 커리어만큼이 나 경영적 오점도 남겨서다. '파괴왕'이라는 수식어로 불리는 조 부사장은 직전 회사인 한 국맥도널드에서 수익성 개선을 위해 인기상품 을 잇달아 폐지 결정했다. 
대표적인 상품 단종은 맥도널드 스테디셀러 상품인 맥런치다. 한국맥도날드는 2018년 13 년간 점심시간대 고객에게 할인 혜택을 제공 해온 '맥런치' 제도를 폐지했다. 오전 10시 30 분부터 오후 2시까지를 맥런치 시간으로 지 정, '빅맥' 등 인기 메뉴를 정가 대비 평균 2 1% 할인가에 즐길 수 있는 제도로 소비자들 로부터 오랜 사랑을 받았다. 13년간 해마다 맥 런치 행사 품목을 늘릴 정도로 소비자 호응에 부응해 왔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를 밟는 진짜 이유

    매출 TOP 5 매장도 팔아버려…홈플러스 의 다음 사업은 땅장사? 
김리영 기자 
ofo 
TALK 
입력 : 2023.08.14 
11:01 
[땅집고] 지난 7일 대전 서구 둔산동 대전정부청사 남측 샘머리 공원 맞은편 부지에 대규모 땅이 펜스 에 가려진 채 건물 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이 부지는 최고 47층 5개동, 119·169㎡(이하 전용면적) 총 832실 규모 고급 주거시설 ‘그랑 르피에드 둔산'으 로 탈바꿈한다. 대전에서는 가장 높은 하이엔드 주 택이 될 전망이다.
    주주명 
지분율 
MBK파트너스 
100%
    매출액 
6조 6,005억 8,886만 2,524원 (2023. 2. 29.) 
순이익 
278억 4,527만 7,575원 (2023. 2. 29.) 
자산총액 
9조 957억 1,191만 571원 (2023. 2. 29.) 
부채총액 
8조 2,245억 199만 7,874원 (2023. 2. 29.)

    뭐긴 뭐야 ㅋㅋㅋㅋㅋ

    Mbk가 홈플러스 주식 100% 들고 있는데

    홈플러스가 보유한 땅값이

    얘네가 인수한 주식가격보다 높음.

    그 결과

    '어? 부지 쪼개서 팔아버리면 더 이득이네?'

    라는 개씹사이코패스 발상이 나온 거.

    거기 다니는 직원들 어쩌냐고?

    폐업하면 해고 합법이니 그 뒤는 몰?루

    뇜뇜03/04 답글달기
이거 덕분에 최강의 매출을 자랑하고
부모님댁에서 가까워서 잘 써먹었던 홈플러스 부산-개금점이 갑자기사라짐.
거기 건물크게 올리고 있는데 sigh
미카일2703/04 답글달기
사모펀드 이 새끼들은 대체 왜 존재하는 거지?
멀쩡한 사업 소비시장 박살내고 세상에 ㅈ도 아무런 도움도 안 되는 해충 그 잡채인데?
좌절감03/04 답글달기
어쩐지 우리 동네 있던 지점도 바로 뒤에 새로 재건축한 단지 분양한 지 몇 년 돼서 사람들 꽤 많이 올텐데도 작년에 없애버렸음. 집에서 걸어서 10분, 차 타고 3분 거리에 있는 대형 마트라 졸라 편했는데 아쉬움.
ㅡ_-]す~03/04 답글달기
자산 9조인데 부채 8조 실화냐 자본잠식 직전이라는건데 버티는게 신기하다
    不知火舞03/04 답글달기
이마트는 멸콩이 말아먹어서 문닫기라도 했지 저건 뭐....
검은듀공03/04 답글달기
저 매장이 top5였다고?
이마트랑 이런거 땜시 사람 개적었는데
부정적사고만함03/04 답글달기
땅 팔고 건물 올라가면 1층이나 지하에 들어간다던데 들어간데 얼마나 있을련지
계란03/04 답글달기
진짜 관련 생계는 ㅈ도 신경 안쓰는 경영이구나
    역사여! 시대여! 바닥도 없이 끝 간 데 모를 인간의 탐욕이여!

    현대카드 정태영 부회장의 일침, '이게 수능 국어 문제? 출제자가 게으르다'

     

    현대카드 정태영 부회장의 일침, '이게 수능 국어 문제? 출제자가 게으르다'

    현대카드 정태영 부회장의 일침, '이게 수능 국어 문제? 출제자가 게으르다'">">12개월 근수저 아기의 힘을 본 아동 발달센터 운영자의 댓글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진주(@jinju__x_x)님의 공유

    cutekorean.tistory.com

    귀귀와 조선일보의 대결, 그 후일담.jpg
     

    귀귀와 조선일보의 대결, 그 후일담.jpg

    귀귀와 조선일보의 대결, 그 후일담.jpg">조선일보 1면에 실렸던 귀귀 관련 기사">진화론을 믿는 사람도 창조설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4대 대학 FM 구호, 자주관악 통일연세 민족고대 해방이화의

    brilliantkorean.tistory.com

    [내 집 마련의 꿈] 부동산 담보대출 이자 계산기

     

    [내 집 마련의 꿈] 부동산 담보대출 이자 계산기

    [내 집 마련의 꿈] 부동산 담보대출 이자 계산기대출 상환 방법원리금 균등상환 :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원금과 이자를 합한 상환금액이 매달 동일합니다.원금 균등상환 : 매달 원금을 동일하

    luckykorean.tistory.com

    한자교육 폐지의 처참한 결과와 국평오 뜻, 인터넷 드립 모음집
     

    한자교육 폐지의 처참한 결과와 국평오 뜻, 인터넷 드립 모음집

    한자교육 폐지의 처참한 결과와 국평오 뜻, 인터넷 드립 모음집국평오는 '대한민국 국민 평균은 수능 5등급'의 줄임말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밈입니다.국민들의 지적 능력 평균 수준

    lovelykorean.tistory.com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들의 업적 한 짤 요약.jpg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들의 업적 한 짤 요약.jpg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들의 업적 한 짤 요약.jpg">">사회가 거리두는거 아님? 최신 업데이트 버전.jpg너는 세상 삼라만상 다 알아?">제사 축문 각 문장의 한자 뜻과 축문 쓰는 방법 제사 축문 각 문

    beautifulkorea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