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증권, 경제 이야기

세계 각국이 매독을 부르는 별명.jpg

by luckykorean 2025. 5. 7.

목차

    반응형

    세계 각국이 매독을 부르는 별명.jpg

    매독균(梅毒菌, 트레포네마 팔리듐, Treponema pallidum, T.P.)은 인간에게만 전염되며, 성병의 일종인 매독을 유발하는 균입니다. 길이 6–15 μm, 폭 0.1–0.2 μm 가량인 나선 코일형태의 미생물로, 자체 대사에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숙주인 사람의 대사 활동을 최소화 합니다. 가장 중요한 전파 경로는 성 접촉이지만, 매독 환자인 엄마에게서 태어난 어린이나 혈액을 통한 감염 또한 매독 전파의 경로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문란한 성관계에 의해 발생한다고 여겨지는 매독은 그 발생원인과 발병사실이 너무 불쾌하고 꺼림칙 했기 때문에 다들 싫어하는 나라탓으로 돌리며 간접적인 별명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1. 이탈리아 : 프랑스병

    1494년, 샤를 8세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이탈리아에 침입했을 때 널리 퍼졌기 때문에 이탈리아인들은 매독을 프랑스병(mal Francese)이라고 부릅니다.

    2. 프랑스 : 나폴리병

    1494년 침입 당시 목적지였던 나폴리에서 프랑스군이 많이 감염되었기 때문에 프랑스인들은 매독을 나폴리병(mal de Naples, mal Napolitain)라고 부릅니다.
    (지네가 침략했으면서 양심없는 새끼들;)

    3. 영국 : 프랑스 천연두

    영국인들은 프랑스인들이 퇴폐적이고 문란한 성생활을 즐긴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매독을 프랑스 천연두(French pox)라고 부릅니다.

    여담으로 콘돔은 프랑스인의 유혹이라는 의미로 일명 '프랑스인의 편지(French letter)'라고 부르고, 특히 돌출부가 부착된 특수 콘돔을 '만족시키는 프랑스인(French tickler)'이라고 부릅니다.

    4. 네덜란드 : 스페인병

    16세기 네덜란드는 종주국이었던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치열한 투쟁을 벌였고, 그때 남은 앙금이 반영되어 스페인 천연두(Spaanse pokken)라고 부릅니다.

    5. 포르투갈 : 카스티야병(카스티야는 스페인의 한 지역)

    네덜란드와 마찬가지로 스페인제국에게 합병당하는 수모를 겪은 적이 있는 포르투갈 역시 스페인의 한 지역 이름을 따 카스티야병(Mal Castilla)이라고 부릅니다.

    6. 러시아 : 독일병, 프랑스병

    러시아는 매독을 독일병(немецкая болезнь) 또는 프랑스병(французская болезнь)이라고 부릅니다.

    7. 폴란드 : 독일병

    말할 것도 없이 독일을 증오하기 위해 태어난 국가이기 때문에 매독에도 독일병(choroba Niemiecka)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8. 그리스 : 불가리아병

    고대 그리스 시절부터 그리스 지역과 불가리아가 있는 트라키아지역은 서로 불구대천의 원수사이였습니다.

    둘 다 사이좋게 오스만제국에게 점령당했다가 독립한 이후로는 발칸반도의 주도권을 놓고 대립한 역사가 뿌리 깊기에 그리스는 매독을 불가리아병(Βουλγαρική ασθένεια)이라고 부릅니다.

    요즘은 쓰이지 않으며, 현재 불가리아병이라는 말은 조류 독감을 상징하는 말로 뜻이 변형 되었습니다.

    9. 불가리아 : 그리스병

    같은 이유로 불가리아도 매독을 그리스병(Гръцка болест)이라고 부릅니다.

    10. 튀르키예 : 기독교병

    고결한 이슬람 성도들은 매독같은 불결한 병에 걸리지 않는데, 십자가 들고 다니는 유럽 놈들 때문에 생긴 거라고 주장하는 터키인들은 매독을 기독교병(Hristiyan hastalığı)이라고 부릅니다.

    11. 일본 : 포르투갈병

    일본은 매독이 16세기 이후로 포르투갈 상인들이 일본을 방문해 여성들을 상대로 갖은 음행을 저질렀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생각하기에 포르투갈병(ポルトガル病)이라고 부릅니다.

    12. 조선 : 중국병, 일본병

    조선은 남녀의 유별을 아는 예의지국이라서 이런 병이 생길리가 없습니다.

    이것은 다 중국 떼놈들이나 일본 왜놈들 때문에 생긴 병이기 때문에 중국병(唐瘡, 당창), 혹은 일본병(倭色病, 왜색병)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 : "이 세상 만물 모든 것은 다 중국이 원조다."

    매독은 콜롬버스 스페인 원정함대의 신대륙 발견 직후 아메리카에서 옮아와 1495년 무렵부터 유럽 전역에서 급속도로 퍼졌습니다. 신대륙을 제외한 곳에서 매독의 전파 경로는 스페인이 원조가 맞습니다. 스페인에서 전파되기 시작하여 항해로를 따라 중동, 인도, 중국 광동을 거쳐 1515년에 한국에서도 기록되기 시작했으므로, 고작 20년사이에 대륙 끝에서 끝으로 퍼진 질병인 셈입니다.

    독립운동가들에게 죄수복이 아닌 한복을 입혀 드린 빙그레
     

    독립운동가들에게 죄수복이 아닌 한복을 입혀 드린 빙그레

    독립운동가들에게 죄수복이 아닌 한복을 입혀 드린 빙그레">">원본 영상처음 입는 광복 | 빙그레 (Full ver.) 빙그레(Binggrae)2024년 8월 15일 광복절 프로모션 광고. 2024년 광고 대상 수상작.">지역사회

    cutekorean.tistory.com

    3D 캐릭터를 예쁘게 제작하는 비밀 노하우들.gif
     

    3D 캐릭터를 예쁘게 제작하는 비밀 노하우들.gif

    3D 캐릭터를 예쁘게 제작하는 비밀 노하우들.gif">">지역사회에 역대급 민폐를 끼친 반달가슴곰, 오삼이의 일생 지역사회에 역대급 민폐를 끼친 반달가슴곰, 오삼이의 일생지역사회에 역대급 민

    brilliantkorean.tistory.com

    영국 지폐에 새겨진 다양한 직업의 인물들.jpg
     

    영국 지폐에 새겨진 다양한 직업의 인물들.jpg

    영국 지폐에 새겨진 다양한 직업의 인물들.jpg1 파운드5 파운드10 파운드">20 파운드50 파운드">번외. 점점 늙어가는 지폐 속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초상화아들 등장! 지폐에 등장한 찰스 왕 초상화

    luckykorean.tistory.com

    남자들이 좀처럼 이해하지 못하는 여성의 외모 개념, '앞머리'
     

    남자들이 좀처럼 이해하지 못하는 여성의 외모 개념, '앞머리'

    남자들이 좀처럼 이해하지 못하는 여성의 외모 개념, '앞머리'">">">인터넷에서 칼부림 하겠다고 떠들던 애들이 하나도 남김없이 잡힌 이유 인터넷에서 칼부림 하겠다고 떠들던 애들이 하나도 남

    lovelykorean.tistory.com

    동네 놀이터에서 자기도 모르게 민주화 드립을 친 어린이와 학부모의 대화
     

    동네 놀이터에서 자기도 모르게 민주화 드립을 친 어린이와 학부모의 대화

    동네 놀이터에서 자기도 모르게 민주화 드립을 친 어린이와 학부모의 대화여자아이 둘과 두 엄마,남자아이 하나와 한 아빠가아이들의 소꿉놀이를 지켜보던 상황.남자아이 : 자, 머리 아픈 거 낫

    beautifulkorean.tistory.com

    반응형